본문 바로가기
사회.정치.역사

대통령의 지위와 권한은?(+형사 불소추 특권)

by 굿펠라스 2022. 3. 17.
반응형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뽑힙니다. 이때 상대 다수대표제를 적용하며, 임기는 5년 단임제입니다. (9차개헌이후 지금까지 적용중). 이는 이전에 전두환 정권시절 7년단임제에서 변경된것으로 장기 집권 및 독재로 인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대통령의 지위와 권한

 

- 행정부 수반으로서, 행정부 지휘 및 감독권, 국군 통수권, 대통령령 발포권, 공무원 임면권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 대통령은 국회의 탄핵소추,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거에 의한 통제, 여론에 의한 통제 등으로 견제를 받습니다. 


<시험기출문구>

 

- 대통령이 일반사면을 명하려면 국회의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 행정각부의 장은 국무위원 중에서 국회의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합니다.

- 대통령은 필요하다가 인정할 때에는 외교.국방.통일 기타 국가 안위에 관한 중요 정책을 국민투표에 붙일 수 있습니다.

- 대통령은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여 위임받은 사항과 법률을 집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관하여 대통령령을 발할 수 있습니다. 


- 국가 원수로서의 권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가 대표의 권한 : 외교 승인권, 조약 체결 및 비준권 등
  • 국가의 독립과 영토의 보존 및 헌법수호 기관으로서의 권한 : 긴급 명령권, 계엄 선포권, 위헌 정당 해산 제소권 등
  • 헌법 기관 구성의 권한 : 국무총리, 대법원장, 대법관, 헌법재판소장, 감사원장 임명권 / 헌법재판소 재판관 3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3인 임명권
  • 국정 조정자로서의 권한 : 법률안 공포권 및 거부권, 헌법 개정안 제안권, 사면권 등

<형사 불소추 특권>

 

-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상 소추를 받지 아니합니다. 

- 재직 중에는 공소시효의 진행이 정지됩니다.

- 대통령의 직에서 물러난 경우에는 형사소추가 가능합니다.

- 민사상 손해배상은 재직 중에도 청구가 가능합니다.


대통령의 권한 행사 수단

 

1. 국무회의 심의 : 주요 국정 사안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칩니다.

 

2. 부서 제도 :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문서로 합니다. (대통령, 국무총리, 관계 국무위원 서명 필요)

 

3. 자문기관 자문 : 국가안전보장회의, 평화통일 자문회의, 국민경제 자문회의 등의 자문을 받습니다.

 

4. 의회 동의권 및 승인권 : 고위 공무원 임명 및 조약 체결 시 국회의 동의를 요구 합니다. 긴급제정 및 경제처분명령 등에 대하여는 국회의 승인을 요구합니다. 

반응형

댓글